예전에 비해서 먹는 정도가 줄어든긴 했어도, 우리 밥상에서 사라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콩나물과 무입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명절음식으로 나물요리를 많이 올리는데 추운 겨울 감기 기운이 돌 때, 약처럼 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예전 심부름으로 사러 다니기도 한 추억들을 나이 좀 계신 분들은 가지고 계시기도 한 이 채소들은 간단하게 반찬 만들기도 좋고, 소화가 잘 되지 않으시는 분들에게 이 추운 겨울을 건강하게 보내도록 해주는 보약 같은 요리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무와 콩나물을 이용하여 심한 기침이 있는 분들을 위한 레시피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콩나물과 무의 효능
콩나물의 효능
콩나물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는 것처럼 ‘아스파라긴산’은 간을 해독하는 대표적 성분으로 숙취 해소에 좋고, 온 몸이 저리거나 근육통이 있을 때 치료제로 쓰인 해독본초라고 합니다. 염증을 억제하여 열을 내리는 효과가 뛰어나며 해독 작용과 함께 뇌를 보호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콩나물은 아시다시피 황대두의 싹을 틔운 것으로 콩나무링 되기전에 막 싹을 틔운 황대두를 가리켜 ‘대두황권’이라고 합니다. 이 대두황권은 청심환의 필수 재료로써 과다한 열을 내려주는데, 황대두를 불려 싹의 길이가 2~5cm이내의 어린싹을 말린 것이라 합니다.
콩은 단백질의 풍부한 식자재이지만, 콩 자체로는 소화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공을 하게 되는데, 콩에 싹을 틔운 콩나물은 콩과 채소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단백질 뿐 아니라 콩에 부족한 비타민도 채소와 같이 풍부하여 소화 흡수가 잘되게 하는 잇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콩나물속 비타민C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주고, 해독작용을 통해 면역력을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주는데 추운 겨울철 감기에 좋은 음식으로 여겨지게 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입니다.
무의 효능
이제 무의 효능을 한번 살펴볼까요? 무에는 위장기능을 촉진시키는 다량의 효소가 들어 있어 오래 묵힌 가래 해소에 도움을 주고, 복부가 더부룩하거나,소화불량,변비에도 도움을 주며, 가래를 삭혀 기침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겨울철 기침 가래가 심하신 분들은 무를 즐겨 드시면 좋은데, 특히 초록빛이 나는 부위, 약간 매운 맛을 내는 ‘시니그린’이라는 성분은 가래를 묽게 하고, 기관지 점막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무콩나물볶음 레시피
이렇게 기침과 가래에 좋은 콩과 무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만들어 드신 수 있는 음식이 있는데, 바로 무콩나물볶음입니다.
✅ 준비하실 식자재는 무1/3개, 콩나물1봉, 들기름 혹은 참기름, 참치액젓, 맛소금, 통깨, 쪽파, 멸치다시다 육수를 준비하시면 됩니다. ✅ 다시다육수는 물로 대체해도 괜찮습니다.
✅ 무를 평상시보다 조금 두껍게 채를 썰어 줍니다. ✅ 채친 무는 소금을 뿌리고 5~10분 정도 절여줍니다.
✅ 콩나물도 미리 다듬어서 준비해 둡니다.
✅ 후라이팬에 콩나물을 넣고 볶아줍니다.
✅ 콩나물이 어느 정도 숨이 죽으면 무(물을 빼고)를 넣어줍니다. ✅ 무가 어느 정도 숨이 죽으면 무절인 물을 부어줍니다.
✅ 다시마육수를 부어줍니다.
✅ 자작하게 부어준 물에서 콩나물과 무를 볶아줍니다.
겨울철 기침, 특히 기관지가 좋지 못하신 분들은 밤새 기침으로 잠 못 드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이 계십니다. 기침을 오래하게 되면 다른 부작용도 생길 수 있어 단기간내 기침은 뿌리 뽑는게 상책이죠. 오늘 알려드린 콩나물과 무의 효능은 보시다시피 기침 완화와 가래해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식자재입니다. 알려드린 레시피로 오늘 저녁 무콩나물볶음 한번 만들어 드셔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셔서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 “불없이 요리할 수 있습니다” 만두 고수들만 안다는 전자렌지로 냉동만두 찜기에 찐것 같이 찌는 방법 |
👉 “이렇게 구우면 최소 암유발합니다” 의사들도 말리는 절대 구워 먹으면 안되는 음식 (+구워먹으면 좋은 음식) |
👉 “외출모드를 쓰면 돈나갑니다” 99% 사람들이 거꾸로 사용하고 있는 제조사별로 돈 안나가는 보일러 사용법 |